구독자님.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육성 전문 액셀러레이터 와이앤아처의 뉴스레터가 도착했습니다!
2025. 1. 2.
와이앤아처 2025년 01월호 뉴스레터
구독자님.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육성 전문 액셀러레이터 와이앤아처의 뉴스레터가 도착했습니다!
2025.01
뉴스레터 제7호
1. ARCHER'S 한 달 돌아보기
2. FAMILY REVIEW
3. START-UP INSIGHT
4. INVESTOR INTERVIEW
5. Y&A COLUMN
6. 알아두면 쏙쏙! 이득
# 최근 뉴스레터 다시보기
1. ARCHER'S 한 달 돌아보기
한 눈에 알아보는 2024년 와이앤아처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 와이앤아처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의 결실을 맺으며 바쁜 시간을 보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진행된 프로그램들은 참여 스타트업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한 달 돌아보기에서는 와이앤아처가 2024년 거둔 성과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
한 해 동안 와이앤아처는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 각지와 글로벌 무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많은 스타트업들의 성장을 지원하고자 최선을 다해왔습니다. 다가오는 2025년에는 더욱 새롭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으로 여러분을 찾아뵐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며, 스타트업 생태계에 든든한 파트너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항상 아낌없는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시는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2. FAMILY REVIEW
비체담
- 와이앤아처 이강현 융합성장그룹 파트장 -
사진출처: 비체담
혈압이 높아진다는 것은 우리의 삶에서 누려오던 다양한 것들을 포기하게 만들고, 의학의 힘을 통해 통제해야 하는 부분으로 진행되어 집니다. 나이가 고령으로 증가할수록 고혈압약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어른들의 '보약'이라고 불리던 고혈압약이 더 이상 보약이 아니게 되는 현실을 맞이하고 있기도 합니다.
'비체담'은 생약 성분 Rock 저해제 기반의 항고혈압 치료제를 개발하여 고령자가 기존의 고혈압약을 복용해서 겪게 되는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하는 스타트업입니다.
IBM의 PC 사업 인수를 할 당시 양위안칭 레노버 최고경영자(CEO)는 영어를 거의 할 줄 몰랐다. 양 CEO는 IBM PC 사업을 인수하자 마자 곧바로 영어 공부에 나서는 한편 영어를 레노버의 공식 언어로 채택하였다. 한발 더 나아가 IBM 경영진들과 친해지기 위해 노스캐롤라이나로 가족을 데리고 이사하기도 했다.
현재 레노버 본사는 중국 베이징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두 곳에 있다. 이러한 노력 덕에 현재 양 CEO는 미국서 열리는 컨퍼런스에서 영어로 애널리스트를 상대하는가 하면 외신들과 인터뷰도 영어로 진행할 정도다. 또한 레노버는 '본사의 경영 방침을 강요하는 북미 기업'과 달리 피인수 기업에 사업을 믿고 맡기다시피 하는 것으로도 정평이 나 있다. 그만큼 유려한 마인드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아일럼인베스트에서 심사역으로 재직중인 김예은이라고 합니다. 저는 심사역 이전에는 스타트업에 재직하다 MBA를 거쳐 벤처투자업계로 넘어왔습니다. 스타트업에 있을 때, 와이앤아처의 투자를 받기도 했었는데 이렇게 인사드리게 되어 영광입니다!
Q. 주요 투자 분야를 알려주세요!
A. 저희 회사는 섹터에 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은 편입니다. 다만, AI 기술을 활용해 산업을 transformation 할 수 있는 기업에 관심이 많은 편입니다. 또한 저희는 꼭 IPO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M&A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단일 민족, 같은 언어, 5천만의 인구수, 전 지역 일일 생활권 이라는 통계학적 특성을 지닌 대학민국에서 플랫폼 비즈니스는 2007년 스마트폰의 출시와 빠른 보급, 세계 경제의 호황에 따른 풍부한 현금 유동성을 기반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했었다. 기존 제조의 영역에서 선전하고 있던 대기업, 중견기업들도 하나같이 관련 비즈니스를 앞다투어 런칭하면서 새로운 환경에서의 승자가 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스타트업의 생태계 또한 마찬가지.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플랫폼 스타트업들이 무수히 생겨나고, 높은 성과를 보여주게 됨으로써 많은 투자 자금이 앞다투어 그들의 비즈니스에 합류했다. 특히 제조 기반의 스타트업 대비 빠른 성장 추이를 보여주면서 "스타트업은 J커브를 그려야 한다!" 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 생태계에서 이들은 환영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더불어 펜데믹이라는 통제할 수 없는 환경을 맞이 했음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성장을 하면서 스타트업 투자의 성공 방정식이라는 산업이라고 까지 이야기 되었다. 그러나...
엔드유저 (End User) 제품이나 서비스를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이나 조직을 의미. 중간 유통자나 판매자와 달리, 제품의 실제 사용 경험을 통해 가치를 느끼는 대상. 제품 개발과 개선 과정에서 엔드 유저의 피드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요구와 사용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
유저 리텐션 (User Retention) 기존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는 비율을 의미. 리텐션이 높을수록 고객 충성도가 높고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성이 증가함. 이를 위해 온보딩 최적화, 개인화 서비스, 사용자 피드백 반영이 중요하며 낮은 리텐션은 높은 이탈률로 이어져 마케팅 비용의 증가와 성장성을 초래할 가능성을 내포